비밀번호

커뮤니티2

  • 구름많음속초17.5박무북춘천16.6구름조금철원14.6구름많음동두천15.3구름많음파주14.3흐림대관령12.7구름많음춘천16.4구름많음백령도20.2흐림북강릉17.8구름많음강릉18.2흐림동해18.7구름많음서울17.3구름많음인천17.9구름많음원주17.4흐림울릉도19.9흐림수원17.4흐림영월16.8흐림충주18.3흐림서산18.5흐림울진18.3구름많음청주19.3흐림대전18.7흐림추풍령17.9구름많음안동18.2흐림상주19.5흐림포항20.7흐림군산18.8흐림대구20.5구름많음전주19.0구름많음울산19.5흐림창원21.6구름많음광주19.0흐림부산21.5흐림통영21.0구름많음목포20.1흐림여수20.8구름많음흑산도21.3흐림완도20.6구름많음고창18.0흐림순천18.1흐림홍성19.7구름많음서청주18.2흐림제주23.5구름많음고산23.2구름많음성산22.2맑음서귀포24.5흐림진주17.9구름많음강화16.3구름많음양평17.3구름많음이천17.6구름많음인제15.4구름많음홍천16.6흐림태백15.1흐림정선군16.2흐림제천15.8흐림보은18.3흐림천안18.0흐림보령19.0흐림부여18.3흐림금산18.2흐림세종18.1흐림부안19.0흐림임실17.2흐림정읍18.3흐림남원18.0흐림장수16.9구름많음고창군17.7구름많음영광군18.5흐림김해시20.5흐림순창군17.4흐림북창원21.3흐림양산시21.7흐림보성군19.9흐림강진군19.8흐림장흥19.1흐림해남20.4흐림고흥19.1구름많음의령군17.8흐림함양군19.6흐림광양시19.5흐림진도군20.2구름많음봉화15.5흐림영주18.4흐림문경18.6흐림청송군18.0흐림영덕18.6흐림의성18.4흐림구미19.3흐림영천18.9흐림경주시20.4흐림거창18.3흐림합천19.5구름많음밀양20.6흐림산청19.6흐림거제21.7흐림남해20.0흐림북부산21.1
  • 2025.09.29(월)

문화 Inside

[한국문화100]잊혀져가는 정겨운 삶의 터, 초가집

4.C815ACA8C6B4CD08AC00C9D11608021503507556.jpg
 


과거의 선조들의 살림집의 대부분이었던 초가집,
지금은 그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다.
현재 남아있는 초가집을 찾아가 그 곳에서 과거 초가집에 대한 추억과 향수,
그 속에 담긴 문화와 초가집의 우수성을 표현한 영상. 

초가집 소재 선정이유 : 한국인 살림집 문화의 으뜸.
 

내레이션 :

초가집 하면 왠지 그리운 고향을 떠올리게 된다. 없는 살림에 옹기종기 모여 삶에 지친 민중의 애환을 담아왔던 초가집, 가족들과 함께 나누며 어려움을 이겨냈던 서민들의 보금자리였다. 문명의 발전과 세태의 변화에 따라 초가집이 우리 곁을 떠나가고 있다. 그 시절 그 시대의 기억 속으로 떠나보자!
기나긴 한반도의 역사와 함께해온 초가집이 어느 순간부터 보기 힘든 집이 되었다. 1960~70년대 정부에서 추진된 ‘새마을사업’을 기점으로 초가집이 사라지기 시작했는데, 이른바 조국 근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시골마을의 특성이나 전통은 아랑곳하지 않고 건물을 지으면서 우리민족의 수천 년간의 전통 주거양식이었던 초가는 차츰 사라져 현재 사진자료나 민속촌, 민속마을에나 가야 초가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초가를 기억하는 세대는 많지 않다. 그만큼 세월이 많이 흘러 초가는 점점 기억 속에 잊혀져가고 있는 것이다. 사람들의 기억 속 초가는 어떤 모습일까?
 
이제는 반백년 살아온 분들의 추억으로만 남아 있는 초가집, 그 시절 그 때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마을이 있어 찾아가봤다. 이곳은 전북 정읍의 송참봉 조선동네 이전부터 내려오는 선조들의 삶의 터를 그대로 가꾸고 체험 할 수 있도록 초가집 마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곳 마을의 초가집은 방안에 그 흔한 텔레비전과 옷장등 가구 한 점 없다. 잠을 잘 수 있는 이부자리와 전등, 여름을 대비한 선풍기가 전부였다. 그러다 보니 온 가족이 모여 추억 속 딱지치기와 공기놀이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낸다.
 
저녁이 되자 날씨가 여름임에도 농촌의 초가집 마을 주변은 긴 옷가지가 필요할 정도로 쌀쌀해졌다.      그 시절 선조들이 따뜻한 아랫목에 농사일의 고된함을 녹이던 때를 추억하며 아궁이에 불을 피우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직업이 많지 않았던 시절 선조들이 가꿔온 터전에서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며 대물림을 통해 똑같은 방식으로 삶을 이어온 초가집. 그 속엔 추억으로 기억하기엔 그 이상의 무언가가 있는 듯 했다.
 
대대로 내려온 살림집 문화의 으뜸 공간 초가집, 편리함을 추구하는 현대방식으로 변함에 따라 원래 지녔던 소박한 마음을 점차 잃어가고 있다. 현대의 주거 문화 속에서 초가 속 우리의 선조들의 정신을 배울 순 없지만 수천 년간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무의식 속 내제되어 있는 우리의 초가 문화와 정신을 발전시키길 바래본다.

관련태그 낙안읍성 초가집 조선동네 주거문화 한옥
관련사이트 http://nagan.suncheon.go.kr/nagan/

[출처 : 문화포털 - 저작권 조건 확인] (2016.01.05)

검색결과는 총 121건 입니다.    글쓰기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