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맑음속초13.0구름조금북춘천8.7맑음철원8.6맑음동두천7.9맑음파주8.8구름조금대관령5.5맑음춘천9.2맑음백령도9.1맑음북강릉13.5맑음강릉13.4맑음동해14.0맑음서울8.5맑음인천9.6흐림원주9.1맑음울릉도12.3맑음수원9.2구름많음영월9.0맑음충주8.5맑음서산8.6맑음울진12.4구름조금청주8.3박무대전9.7맑음추풍령8.3맑음안동9.1맑음상주9.3맑음포항12.3맑음군산10.1맑음대구11.6맑음전주10.0맑음울산11.6맑음창원12.9맑음광주9.6맑음부산11.7맑음통영10.4맑음목포11.3맑음여수10.8맑음흑산도12.8맑음완도12.4맑음고창7.4맑음순천8.6맑음홍성9.8맑음서청주8.7맑음제주11.8맑음고산13.0구름조금성산12.3맑음서귀포15.2구름조금진주9.0맑음강화9.6맑음양평10.1맑음이천9.0흐림인제8.9구름많음홍천9.6맑음태백7.8구름많음정선군8.4구름많음제천8.7맑음보은7.9구름많음천안9.1맑음보령9.9맑음부여7.5맑음금산7.7맑음세종9.1맑음부안11.5맑음임실5.5맑음정읍8.0맑음남원6.7맑음장수8.2맑음고창군7.5맑음영광군9.3맑음김해시10.6맑음순창군6.5맑음북창원12.4맑음양산시12.1맑음보성군10.9맑음강진군9.6맑음장흥10.9맑음해남8.5맑음고흥11.3맑음의령군8.8맑음함양군10.6맑음광양시10.5맑음진도군11.2구름많음봉화7.2구름많음영주9.4맑음문경9.6맑음청송군9.7맑음영덕11.3맑음의성9.1맑음구미11.5맑음영천11.1맑음경주시12.0맑음거창10.2맑음합천9.6맑음밀양11.0맑음산청11.9맑음거제12.8구름조금남해12.3맑음북부산11.8
  • 2025.05.02(금)

CZ/SK 비즈니스/법률

슬로바키아 화장품시장 진출의 첫 단추는 'CPNP 등록'

슬로바키아 화장품시장 진출의 첫 단추는 'CPNP 등록'
2017-07-07 정봉원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무역관
- 2015~2016년 한국산 화장품 수입 103% 증가 -
- 슬로바키아 및 EU 화장품 진출 위해서는 CPNP 등록 필수 -


 
□ 슬로바키아로 수입되는 한국 화장품 증가 추세

  ㅇ 슬로바키아의 대한국 화장품 수입 수요는 2016년 말 기준 약 24만 달러로 전년대비 1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서유럽국 대비 비교적 최근에 한류에 대한 인식 확산, 기능성 천연화장품, 마스크팩, 아이패치 등을 중심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
 
 슬로바키아의 화장품 수입 동향(HS Code 3304 기준)
        (단위: US$, %)
1.jpg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슬로바키아(EU) 화장품 수출 시 필요한 절차: CPNP(Cosmetics Products Notification Portal)
 
  ㅇ 슬로바키아는 화장품 수입 관련 EU 법안인 EC1223/2009를 적용, 모든 화장품은 판매 전에 CPNP 등록을 의무화하고 있음.
 
  ㅇ CPNP 등록을 위해서는 슬로바키아(또는 타 EU국가)의 법인을 책임자(RP: Responsible Person)로 지정해 에이전트 역할을 맡긴 뒤 일련의 검사과정을 통과해야 함.
 
□ CPNP 등록 5단계
  
  1) 1단계: 책임자 지정
 
  ㅇ EU 법안인 EC1223/2009에 따르면 모든 화장품 브랜드는 책임자(RP)가 지정돼 있어야 함.
    - 책임자의 정의: 유럽 내에 등록된 자연인 또는 법인으로 유럽 내 모든 국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주체가 되며 제조사, 컨설팅회사, 수입회사, 유통회사 등이 주로 해당됨.
    - 화장품 수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과 책임자는 서면 계약 관계가 있어야 함.

  ㅇ 책임자(RP)의 역할
    - 규제 당국의 우선적 연락 대상자(정부가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대상)
    - 제품이 최초로 시장에 유통되는 시점으로부터 10년간 PIF를 관리하는 주체
    - 제품의 임상 안전성에 대한 책임자
20170629182421399_OQBVSN1S.png
 

  2) 2단계: 제품 구성성분의 검사
 
  ㅇ EC1223/2009의 부록 2에 명시된 금지/제한 성분 포함여부 공식검사기관으로부터 확인

  ㅇ 금지 성분

  ㅇ CMR 물질(발암성, 돌연번이원성, 생식독성)은 CLP 규정(EC No 1272/2008)의 부록 6에 나열돼 있으며 2, 1A, 1B 카테고리인 경우 금지됨.

  ㅇ CMR 물질은 다음 조건하에 화장품 성분으로 허가 될 수 있음.
    - 규정 (EU) No 178/2002에 정의 된 바와 같이 식품 안전에 관한 조항을 준수하는 경우
    - 대체 물질 분석 후 적절한 대체 물질이 없는 경우
    - 제품 카테고리의 특정 사용에 대한 요청이 결정된 경우
    - 화장품에 사용하기 위해 SCCS가 물질을 평가하고 안전하다고 판단한 경우

  ㅇ 제한 성분: 약 300 개의 물질을 포함하는 화장품 규제의 부록 3에 열거돼 있음. 이 성분들은 부록에 기술된 조건(제품 유형, 순도 기준, 최대 사용 비율 등) 하에서만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음.

  ㅇ 허용 성분: 착색제, 보존제, UV 필터임. 이 성분들은 규정의 제한 및 제품에 포함 된 성분의 종류, 관련 신체 부위, 제품의 성분 농도를 준수하는 경우 승인됨. 
 
  3) 3단계: 제품 정보 파일(CIF) 작성
 
  ㅇ CIF는 규제 당국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 또는 서면문서로 작성돼야 함.
20170707110440830_U62K4J3J.png

  ㅇ CIF 필수 포함 내용
    - 제품 설명
    - 제품 안전 보고서
    - 제조 방법 및 우수 제조 기준 준수에 대한 설명
    - 화장품에 대한 효력 증명
    - 제3국의 입법 또는 규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행된 동물 실험을 포함해 화장품 또는 그 성분의 개발 또는 안전성 평가와 관련한 제조업체, 그 대리인 또는 공급자가 수행한 동물 실험에 관한 데이터
    - 참고: 모든 화장품에 대한 동물실험은 금지돼 있음.

  4) 4단계: 준수 레이블(Compliant label) 제작
20170707110553781_E85XXKW7.png
 
  ㅇ 레이블에 필수로 포함돼야 하는 정보
    - 책임자 성명 및 주소
    - 원산지
    - 명목상의 콘텐츠
    - 최소 내구성 또는 개통 후 날짜
    - 예방 조치 및 경고*

  ㅇ 배치 번호
    - 제품 기능*
    - 성분 목록
    * 수출 국가의 언어로 된 번역은 필수로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프랑스, 폴란드, 포르투갈 및 슬로바키아는 레이블의 완전한 번역 및  마케팅 내용까지 요청함.
  5) 5단계: CPNP 온라인 등록

  ㅇ 책임자(RP)는 CPNP 온라인 포털을 통해 유럽의회(European Commission)에 제품을 등록해야 함.

  ㅇ CPNP 포털이란?

20170629182420773_UAZQ4257.png
 
    - CPNP(화장품 제품 통보 포털): CPNP는 유럽의회와 화장품제품협의회가 지정한 Regulation(CE) No 1223/2009 시행을 위해 작성된 온라인 알림 포털이며, 책임자 및 당국이 제품 정보에 접근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웹 사이트임.

  ㅇ 규제 요구 사항은?
    - Regulation No 1223/2009는 화장품을 판매하기 전에 책임자가 온라인으로 통보할 것을 요구함.
 
  ㅇ 등록 시 전송해야 할 내용은?
    - 제품의 이름 및 범주
    - 책임자의 이름과 주소, 연락처 정보
    - 수입의 경우 원산지
    -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첫 번째 국가
    - 나노 물질 및 CMR 물질의 존재
    - 화장품 제품의 배합
    - 외부 포장의 사진이 있는 준수 레이블
    · 등록 후에는 유럽 ​​경제 지역(EEA) 31개국 모든 시장에 유통·판매 가능
 
□ 시사점
 
  ㅇ 유럽시장에 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CPNP 등록이 필수이며, 이 절차(2~5단계)를 진행해줄 수 있는 현지 에이전트를 구하는 것이 관건

  ㅇ CPNP 등록 자체는 무료이나 관련 검사기관에 성분 검사를 의뢰하는 비용이 상당함.

  ㅇ CPNP 전체 등록 절차 진행 및 수수료 조건을 에이전트와 협상할 수 있음.

  ㅇ 슬로바키아의 경우 작은 화장품 수입·유통업체는 CPNP의 책임자가 되는 것, 시장성이 확실하지 않은 제품의 CPNP 등록 절차를 대행하고 유통시키는 것에 대해 큰 부담을 느낌.

  ㅇ 따라서 슬로바키아에서는 규모가 큰 화장품 수입·유통업체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EU 내에 어떤 국가의 에이전트도 CPNP를 대행해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국가에서 CPNP 등록 후 슬로바키아 시장에 진출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 있음.
 

자료원: GTA, EU Commission, 현지 화장품 바이어 인터뷰 및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 저작권 조건 확인]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