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

커뮤니티2

  • 흐림속초26.3구름많음북춘천26.0흐림철원26.1흐림동두천25.9흐림파주24.3구름많음대관령23.0구름많음춘천26.3박무백령도25.7구름많음북강릉25.6구름많음강릉29.5구름많음동해26.4흐림서울28.2흐림인천27.2흐림원주28.5구름조금울릉도26.8흐림수원26.4구름많음영월25.5구름많음충주28.0구름많음서산26.5구름많음울진28.2구름많음청주29.2구름많음대전28.3흐림추풍령27.7구름많음안동28.2구름많음상주29.2구름많음포항29.1구름많음군산28.7구름많음대구28.1흐림전주28.1구름많음울산28.8구름조금창원28.7구름조금광주27.5맑음부산28.8맑음통영28.0구름조금목포27.8맑음여수28.5구름조금흑산도27.6맑음완도28.2맑음고창28.2구름조금순천24.3구름많음홍성27.6구름많음서청주27.3구름조금제주30.4맑음고산27.9구름조금성산28.3비서귀포28.8구름조금진주26.2흐림강화24.5흐림양평27.3흐림이천27.6구름많음인제25.0흐림홍천26.3구름많음태백25.4구름많음정선군25.0구름많음제천25.2구름많음보은26.1구름많음천안26.7구름많음보령27.5구름많음부여26.7구름많음금산27.1구름많음세종26.7구름많음부안28.1구름많음임실26.1구름조금정읍28.8구름많음남원27.9흐림장수26.4구름조금고창군27.7구름조금영광군28.2구름많음김해시28.2구름많음순창군27.9구름조금북창원29.0구름많음양산시29.2맑음보성군26.6구름조금강진군26.5맑음장흥25.8구름조금해남27.6맑음고흥26.6구름많음의령군27.6구름많음함양군26.8구름조금광양시27.4맑음진도군27.8구름많음봉화23.4구름많음영주24.6구름많음문경25.9구름많음청송군27.5구름많음영덕26.2구름많음의성27.9구름많음구미28.8구름많음영천27.2구름많음경주시26.8흐림거창27.9흐림합천27.7흐림밀양28.5구름많음산청26.2맑음거제27.0구름조금남해27.8구름조금북부산29.0
  • 2025.08.05(화)

CZ/SK 비즈니스/법률

작지만 꾸준히 성장하는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시장(2017.07.26)

작지만 꾸준히 성장하는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시장
2017-07-26 정봉원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무역관
- IT·애플리케이션과 결합한 서비스 인기 -
- 자전거로 음식 및 물건 배달 서비스, 호황 -
 
 
□ 시장 개요

  ㅇ 슬로바키아는 2016년 기준 전체 인구 약 542만 명, 수도 인구 60만 명의 작은 나라임.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시장은 역사가 길지 않은데, 이는 프랜차이즈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임. 그러나 IT 및 통신의 발달을 통해 작은 수요도 적은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늘어나면서,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시장은 지속 성장하고 있음.
 
  ㅇ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협회(SFA)에 의하면, 2010년부터 2015년 사이 슬로바키아의 프랜차이즈 콘셉트 수는 287% 증가함.
1.jpg
 자료원: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협회(www.sfa.sk), Retail Magazine(www.retailmagazin.sk)
 
  ㅇ 2017년 현재 170여 개에 달하는 프랜차이즈 콘셉트 중 1/3이 슬로바키아 국내브랜드임.

  ㅇ 시장 매출 규모는 2015년 약 29억 유로를 기록했으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이미지 2.jpg
 자료원: 슬로바키아 프랜차이즈 협회(www.sfa.sk)

  ㅇ 매출액 기준 소매점 43%, 서비스 33% 그리고 식당이 24%를 차지하고 있음.
 
 
□ 콘셉트별 해외 및 국내 프랜차이즈

이미지 3.jpg
 자료원 : Slovak Franchising Association(www.sfa.sk)
20170726144653232_JPCV3BKS.png
 
□ 성장 요인 1: 소비자의 구매력 증가

  ㅇ 프랜차이즈 분야의 성장 추세는 슬로바키아의 GDP 성장과 구매력 증가로 뒷받침됨.
 
  ㅇ 향후 지속적인 실업률 하락 및 가계 부채 감소로 인한 소비자 지출이 증가할 전망
이미지 4.jpg
 자료원: Eurostat, 슬로바키아 중앙은행, 슬로바키아 통계청, 유럽 중앙은행, 슬로바키아 재무부
 
□ 성장 요인 2: 젊은 인구 구조

  ㅇ 슬로바키아의 인구 피라미드는 전체 인구의 연령과 성별 구조를 보여줌.

  ㅇ 인구의 56.45%가 15~54세로 슬로바키아 인구는 매우 젊음.
20170716002849593_XAGTFV6E.png
 자료원: CIA World Factbook
 
□ 성장 요인 3: 인터넷 사용률

  ㅇ 슬로바키아에 거주하는 인구 542만9418명 중 2016년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은 82.5 %

  ㅇ 2014년과 2015년 인터넷 사용자의 비율은 각각 80%, 81.7%로 여전히 증가 중

2016년 연령에 따른 일일 인터넷 사용 여부
20170716002848973_RMJTY3AQ.png
 
자료원: statista: www.statista.com
 
  ㅇ 인터넷 사용의 증가 추세는 온라인 주문 및 소비자 식품 서비스의 증가와 연관

  ㅇ 음식 배달을 위한 온라인 서비스가 최근 엄청난 호황 누리고 있음.

  ㅇ 슬로바키아의 최대 음식 포털인 Bistro.sk에 따르면, 2016년 월별 평균 주문량은 2015년 대비 450% 증가했으며 30%의 주문량은 휴대전화를 통해 이루어짐.
   
  ㅇ Bistro.sk는 월 15만 건의 음식 주문을 제공

□ 유망 분야: 식품 서비스

  ㅇ Eurostat에 따르면 슬로바키아에서는 아동 및 노인 양육, 건강 관리, 웰니스, 외국어 교육, 은행 및 보험 사업 프랜차이즈가 확대되고 있음. 그 중에서도 음식점(식품 서비스)은 높은 경쟁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ㅇ 소비자 식품 서비스 분야 보편적 프랜차이즈: 체인 패스트푸드, 커피전문점 및 키오스크(한국의 편의점과 유사)
    - 대다수의 사업자는 이 지역에서 유명한 국제 프랜차이즈가 많음.
    - 패스트 푸드와 카페·바는 각각 2016년 현행 4 %의 성장률 기록(Eurostat)
    - 매출은 배달이 가능한 패스트 푸드 점에서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남.
    - 패스트 푸드점은 전국에서 성장을 보이고 있으나 수도 브라티슬라바에서의 성장이 가장 빠름.
 
□ 내수 브랜드의 성공 사례: Pizza Mizza

  ㅇ Pizza Mizza는 2004년 1월 브라티슬라바에서 개업한 피자 전문점
    - 저렴한 가격에 품질 좋은 화덕 피자를 판매
    - 직경 50cm의 도시 내 가장 큰 피자를 특색으로 함.
    - 현재 슬로바키아 내의 Pizza Mizza 8곳, Pizza Mizza EXPRES 2곳 운영 중

  ㅇ Pizza Mizza의 성공 요인
    - 2010년에 쇼핑센터 전용 Pizza Mizza EXPRES 오픈, 피자의 패스트푸드화 선도하며 성공을 거둠.
    - 음식 배달을 주문할 수 있는 자체 온라인 몰 운영(www.pizzamizza.sk) 및 음식 포털(www.bistro.sk) 연계 운영
 
□ 시사점

  ㅇ 우리나라 만큼 온라인 주문 및 음식 배달 등이 발달하지 않은 슬로바키아 시장에 우리 기업의 진입은 유망한 것으로 보임.
    - 단, 슬로바키아의 시장규모가 작은 점과 프랜차이즈 로열티 및 기타 의무지불금을 고려해야 함.
    - 프랜차이즈 개념은 온라인 쇼핑 트렌드에 맞추어 웹 페이지(또는 모바일 앱)와 온라인 상점을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함.
    - 슬로바키아 사람들은 집에서 요리하는 것보다는 외식하는 것을 선호하므로, 외식산업은 많은 경쟁자들에도 불구하고 유망함.
    - 소득수준 증가로 고급 음식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음식점 외의 건강 관리, 피트니스, 미용, 교육, 금융 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자료원: 각 프랜차이즈 홈페이지 및 KOTRA 브라티슬라바 무역관 자료 종합
http://news.kotra.or.kr(KOTRA 해외시장뉴스) ]
[ 저작권 조건 확인]
검색결과는 총 105건 입니다.    글쓰기
Board Lis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90 2018년 슬로바키아 노동법 개정과 그 영향(2018.05) 운영진 07.27 0 3,730
89 체코, 재활용 및 폐기물 에너지 활용 확대(2018.04) 운영진 07.20 0 3,283
88 2018년 슬로바키아의 투자 인센티브 방향(2018.05) 운영진 07.12 0 2,577
87 [동향세미나] 최근 중국-중·동부 유럽국의 주요 협력 내용과 평가(2018.07.10) 운영진 07.12 0 1,792
86 [동향세미나] EU의 플라스틱 사용 제한입법: 주요 내용과 평가(2018.06.08) 운영진 07.12 0 2,031
85 슬로바키아 자동차 시장동향(2018.06.08) 운영진 06.13 0 2,006
84 슬로바키아의 개인 파산과 관련 법 개정(2018.05) 운영진 05.21 0 1,859
83 체코 주방 소형가전 키워드 '슬로우, 프로패셔널'(2018.02.26) 운영진 04.23 0 2,313
82 급성장중인 슬로바키아 영화시장, 한국영화의 자리는? 운영진 03.29 0 1,684
81 유럽 관광의 숨은 진주, 슬로바키아의 자연 여행(2018.01.02) 운영진 03.01 0 2,300
80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 공항 현대화 프로젝트(2017.12.05) 운영진 02.28 0 1,695
79 [이슈분석] 밀로쉬 제만 대통령 재선 성공 (2018.02.12) 운영진 02.15 0 1,808
78 체코, 2018년 비즈니스 관련 7가지 주요 변화(2018.01.31) 운영진 02.13 0 2,174
77 [전문가 기고] 체코 취업, 마음가짐에서 비자신청까지(2018.01.05) 운영진 02.07 0 1,723
76 [이슈분석] 체코 총선 결과와 EU와의 대립 전망 (2017.12.27) 운영진 01.26 0 1,450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