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전히 높은 탄소에너지 비율,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로의 장기적 전환 움직임 -
- 불안정한 정책으로 정체된 신재생에너지, 자체 경쟁력 확보 필요 -
□ 여전히 높은 탄소에너지 비중
ㅇ 2015년 체코 내 탄소에너지 생산전력은 전체의 60%를 차지함.
- 낮은 천연가스 가격과 사용연수가 연장된 두코바니 원자력발전소 전력생산을 만회하기 위해 석탄보다 탄소배출량이 적은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복합사이클발전 전력생산을 늘렸으나, 여전히 저탄소에너지의 증가는 미미한 수준임.
ㅇ 유럽 내 체코 탄소배출량은 높은 수준
- 체코의 탄소배출량은 1970~1980년대 현재의 배출량의 50% 이상이였으나, 1990년대 초 중공업 분야가 쇠퇴하면서 탄소배출량도 크게 줄어들었음. 그러나 여전히 체코의 탄소배출량은 OECD 국가 중 6번째로 높고 유럽 국가 중에서도 면적대비 높은 수준으로, 2015년 12월에 체결된 신기후체제(Paris Agreement) 이후 탄소배출량 감소 요구는 더욱 높아지고 있음.
□ 체코 내 전력생산 현황
체코 내 발전소별 총(Gross) 전력 생산량
(단위: GWh)
| 
 발전소  | 
 2012  | 
 2013  | 
 2014  | 
 2015  | 
 생산비중(%)  | 
| 
 원자력(NPP)  | 
 30,324  | 
 30,745  | 
 30,325  | 
 26,841  | 
 32.53  | 
| 
 화력(TPS)  | 
 47,261  | 
 44,737  | 
 44,419  | 
 44,817  | 
 52.15  | 
| 
 복합사이클(CC)  | 
 2,200  | 
 2,093  | 
 2,205  | 
 2,749  | 
 3.50  | 
| 
 가스화력(GFPS)  | 
 2,235  | 
 3,180  | 
 3,494  | 
 3,575  | 
 4.31  | 
| 
 수력(HE)  | 
 2,232  | 
 2,856  | 
 1,909  | 
 1,795  | 
 2.28  | 
| 
 양수(PSHE)  | 
 731  | 
 905  | 
 1,052  | 
 1,276  | 
 1.62  | 
| 
 풍력(WPP)  | 
 417  | 
 478  | 
 477  | 
 573  | 
 0.72  | 
| 
 태양광(PV)  | 
 2,173  | 
 2,070  | 
 2,123  | 
 2,264  | 
 2.88  | 
| 
 합계  | 
 87,574  | 
 87,065  | 
 86,003  | 
 83,888  | 
 100.00  | 
자료원: 체코 에너지규제청- ERU
ㅇ 2015년 총 전력 생산량은 83.9TWh로 전년대비 2.5% 감소
- 2015년 전력생산의 가장 큰 변화는 복합사이클발전 전력생산이 전년대비 24.7% 증가한 것으로, 이는 11.5% 감소한 원자력발전 전력생산량을 상쇄함.
- 원자력발전은 전체 전력생산의 33%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재 체코 내에는 테멜린(Temelin)과 두코바니(Dukovany)에 총 6개의 원자력 발전소가 운영 중임.
- 10㎿ 이상 대형 수력발전 생산전력은 낮은 수위로 인해 2014년 최저를 기록한 이후 2015년에도 전년대비 11.6% 감소함. 수력발전은 오랫 동안 이용돼 왔으나 현재 체코 내 수력자원은 상당히 고갈됐으며, 향후에도 비중이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함.
- 양수발전 전력생산은 전년대비 21.3% 증가했고, 풍력발전 전력생산도 20.2% 증가함.
 
자료원: 체코 에너지규제청-ERU
- 에너지 소비의 50%에 해당하는 에너지원을 체코 내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이 중 국내 석탄(갈탄 및 흑탄) 생산량은 전체 소비의 40%를 차지함. 이로 인해 오랫 동안 석탄이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돼 왔으며, 2015년에도 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태양광발전 및 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 및 생분해 가능한 폐기물에 의한 전력생산도 조금씩 증가함.
□ 체코의 에너지정책 현황
ㅇ 2015년 5월, 체코 산업통상부는 2004년 이후 10년 만에 2040년까지의 장기 에너지 정책을 발표함. 신 에너지 정책의 핵심은 원자력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전력생산을 확대해 주 에너지원인 석탄을 대체하고자 하는 전략임.
- 총 전력생산의 50% 이상을 원자력발전으로부터 생산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30~2035년 사이에 2500㎿ 용량의 신규 원전 또는 연간 20TWh의 원자력 발전이 추가로 필요함. 이에 따라 2014년에 테멜린 원자력발전소에 1200㎿ 원자로 건설입찰이 있었으나 정부가 최저가격 보장을 거부해 CEZ에서 입찰을 취소한 바 있음.
- 체코 국영 전력회사인 CEZ는 신규원전 건설을 위한 초기 프로세스를 준비하고 있으며, 한국을 포함한 6개국 8개 기업이 참여를 준비하고 있음.
ㅇ 에너지 정책 주요 내용
-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990년 배출량 대비 40% 수준으로 낮추고, 그 이후에는 EU목표 수준으로 감소하고자 함.
- 2040년까지 국내 주요 에너지원으로부터의 전력생산을 전체의 80% 수준으로 높일 것임.
· 주요 에너지 비중은 원자력 발전 46~58%, 신재생에너지 18~25%, 천연가스 5~15%, 갈탄 및 흑탄 11~21%임.
- 전기가격은 EU 28개국 평균가격 이하 수준, 최대 OECE국가 평균가격의 120% 수준을 목표로 하고, 전기비용을 일반가계 비용의 10% 수준으로 낮출 것임.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추천 | 조회 | 
|---|---|---|---|---|---|
| 987 | (01/02)(화)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01.02 | 0 | 5,296 | 
| 986 | (12/29)페트르 피알라 총리, 2024년 더 나은 삶 약속 | 운영진 | 01.02 | 0 | 5,674 | 
| 985 | (12/27)체코 외무장관, 우크라이나가 무너지면 러시아와 국경 마주할 것 | 운영진 | 01.02 | 0 | 4,675 | 
| 984 | (12/29)(금)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9 | 0 | 5,752 | 
| 983 | (12/28)(목)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8 | 0 | 6,375 | 
| 982 | (12/27)(수)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7 | 0 | 7,005 | 
| 981 | (12/26)(화)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6 | 0 | 5,151 | 
| 980 | (12/25)(월) 프라하 연말 무료 스포츠 주간 2023 (12.25~31) | 운영진 | 12.26 | 0 | 6,083 | 
| 979 | (12/22)(금)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2 | 0 | 6,302 | 
| 978 | (12/21) 프라하 카렐대 총격사건 뉴스(12/27 최종 편집) | 운영진 | 12.22 | 0 | 5,553 | 
| 977 | (12/21)(목)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1 | 0 | 6,134 | 
| 976 | (12/20)(수)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20 | 0 | 5,175 | 
| 975 | (12/19)(화) CzechInsight 뉴스 브리핑 | 운영진 | 12.19 | 0 | 5,033 | 
| 974 | (12/19)(화) 2024년 새해 첫날 가능한 할인혜택 | 운영진 | 12.19 | 0 | 6,143 | 
| 973 | (12/18)(월) 2024년 '유럽 크리스마스 수도'는? | 운영진 | 12.18 | 0 | 5,359 |